본문 바로가기
영어명언과 사람

넬슨 만델라의 삶과 명언, 증오심에 대해

by 제이제이드 2024. 7. 6.
반응형

"As I walked out the door toward the gate that would lead to my freedom, I knew if I didn't leave my bitterness and hatred behind, I'd still be in prison."

"자유를 향한 문으로 걸어 나오면서, 나는 알았습니다. 내가 원한과 증오심을 떨쳐내지 않으면 아직도 감옥에 있을 거라는 걸."
 
 
"Resentment is like drinking poison and then hoping it will kill your enemies."

"원한은 마치 독을 마시고 그것이 적을 죽이기를 바라는 것과 같습니다."


 

넬슨 만델라



넬슨 만델라는 1918년 7월 18일, 남아프리카 공화국 트란스케이 지방의 노블 마가 부족의 일원으로 태어났습니다. 부족장의 아들로 태어난 만델라는 전통적인 아프리카 문화 속에서 자랐습니다.

그는 1944년, 아프리카 국민회의(ANC)에 가입하며 인종차별 정책에 반대하는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정부의 탄압을 받으며 1962년 체포되어 27년 동안 감옥에 갇히게 됩니다.

27년의 감옥 생활에도 만델라는 원한과 증오심에 사로잡히지 않으려 애를 쓰며 용서와 화해의 메시지를 전했습니다. 

 

 

 

"자유를 향한 문으로 걸어 나오면서, 나는 알았습니다. 
내가 원한과 증오심을 떨쳐내지 않으면 아직도 감옥에 있을 거라는 걸"

 

 



1990년 풀려난 만델라는 1994년 결국 남아공의 첫 흑인 대통령에 당선되었습니다.  

그는 평화로운 민주화 과정을 이끌어내며 아파르트헤이트 체제를 종식시키고 흑백 화해를 이루어냈습니다. 


 


아파르트헤이트(Apartheid)


아파르트헤이트(Apartheid)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1948년부터 1994년까지 실시된 인종차별 정책입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백인과 비백인(흑인, 혼혈인, 인도인) 간의 철저한 분리와 차별
- 비백인들의 기본적 인권 및 정치적 권리 박탈
- 비백인들의 주거, 교육, 직업, 의료 등 모든 분야에서의 차별
- 백인 소수가 비백인 다수를 억압하는 정책

아파르트헤이트는 국제사회의 강력한 비판과 제재를 받았고, 1994년 넬슨 만델라 대통령 취임으로 공식적으로 폐지되었습니다. 이는 인종차별에 반대하는 전 세계적 흐름 속에서 남아공 사회가 겪은 비극적인 역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728x90

 

 

 

"증오는 과거를 고치지 못하지만, 미래를 파괴할 수 있다"

 

 


대통령으로서 만델라는 이 말을 통해 원한과 증오심이 미래를 파괴할 수 있음을 경고했습니다. 

 




그의 삶은 평화와 자유, 용서와 화해의 메시지를 전하는 뜻깊은 여정이었습니다. 

만델라는 2013년 12월 5일 향년 95세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그의 업적과 정신은 전 세계에 큰 영향을 주며 지금도 깊은 울림을 줍니다.

 

 

 

 

반응형


(사진 출처 : pixabay)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