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pe" vs. "Wish" – ‘바라다’의 뉘앙스 차이 쉽게 이해하기!
영어에서 "hope"와 "wish"는 둘 다 한국어로 ‘바라다’라고 해석할 수 있지만, 뉘앙스 차이가 있습니다.
헷갈리는 단어지만, 개념을 이해하면 쉽게 구분할 수 있어요! 오늘은 "hope"와 "wish"의 차이를 알기 쉽게 설명해 볼게요.😄
1. "Hope" – 가능성이 있는 희망
"Hope"는 ‘가능성이 있는 일’에 대해 바랄 때 사용합니다. 즉, 현실적으로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일에 대해 기대할 때 쓰는 단어예요.
✅ 기본 공식
hope + (that) 주어 + 동사
hope + to 동사원형
✅ 예문
✔ I hope you feel better soon.
(네가 곧 나아지길 바라. → 실제로 나을 가능성이 있음.)
✔ I hope I pass the test.
(시험을 통과하길 바라. → 열심히 공부했다면 충분히 가능한 일!)
✔ I hope to see you again.
(다시 만나길 바라. → 충분히 가능성이 있는 상황.)
이처럼 "hope"는 현실적인 기대를 표현할 때 씁니다!
2. "Wish" – 가능성이 낮거나 불가능한 희망
"Wish"는 ‘가능성이 희박하거나, 현재와 반대되는 상황’을 바랄 때 사용합니다. 꿈꾸는 것처럼 현실성이 없는 느낌이에요.
✅ 기본 공식
wish + (that) 주어 + 동사의 과거형 → 현재 사실과 반대
wish + (that) 주어 + had + 과거분사 → 과거 사실과 반대
✅ 예문
✔ I wish I were taller.
(내가 키가 더 컸으면 좋겠어. → 현실은 키가 크지 않음.)
✔ I wish I had studied harder.
(더 열심히 공부했으면 좋았을 텐데. → 현실은 열심히 공부하지 않음.)
✔ I wish it would stop raining.
(비가 그쳤으면 좋겠어. → 현실은 비가 오고 있음.)
이처럼 "wish"는 현재 사실과 반대되는 상황을 상상할 때 사용해요!
3. "Wish"를 사용할 때 왜 과거형 또는 과거완료형 동사가 오는지 쉽게 설명해 볼게요!
1.) 과거형을 쓰는 이유 – 현재 사실과 반대이기 때문이에요!
"Wish"는 현실과 반대되는 상상을 할 때 쓰는 동사예요.
그런데 영어에서는 현재 사실과 반대되는 것을 표현할 때 ‘한 단계 과거 시제’를 사용하는 규칙이 있어요.
예를 들어:
✔ I am not rich. (나는 부자가 아니다. → 현실)
✔ I wish I were rich. (내가 부자였으면 좋겠어. → 현실과 반대)
현재 사실(현재형)을 반대로 표현할 때는 한 단계 과거형(were, had, did 등)을 사용해야 해요!
> 💡 영어에서는 과거형을 "시간이 아니라 가능성이 낮은 가정"을 나타내는 용도로도 사용해요.
2.) 과거완료형을 쓰는 이유 – 이미 지나간 일이라 바꿀 수 없기 때문!
"Wish"가 과거완료(had + p.p.)와 함께 쓰이면, 이미 끝난 과거를 후회하는 의미가 돼요.
예를 들어:
✔ I didn’t study hard. (나는 열심히 공부하지 않았다. → 과거의 사실)
✔ I wish I had studied harder. (내가 더 열심히 공부했으면 좋았을 텐데...)
과거의 사실(과거형)을 반대로 표현할 때는 *한 단계 더 과거(과거완료형)를 사용해야 해요!
> 💡 과거는 이미 지나갔기 때문에 바꿀 수 없죠? 그래서 더 깊은 후회를 나타내는 느낌이에요.
4. 쉽게 외우는 팁!
✔ "hope" = 현실적인 기대 → 내일 비가 안 올 수도 있음!
✔ "wish" = 불가능한 꿈 → 어제 시험을 망쳤는데, 다시 시험을 볼 순 없음!
5. 퀴즈! (정답은 맨 아래에 있어요!)
아래 문장에 "hope"과 "wish" 중 어느 것이 맞을까요?
1. I _______ I were a millionaire.
2. I _______ you have a great weekend.
3. I _______ I hadn’t eaten so much.
(정답: 1) wish 2) hope 3) wish)
이제 "hope"과 "wish"의 차이가 확실히 이해되셨죠? 앞으로 영어 문장을 만들 때 이 개념을 기억하면 훨씬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을 거예요!

'영어 뉘앙스의 차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I’m sorry와 My bad의 차이, 언제 어떻게 쓸까? 쉬운 영어 사과 표현 정리 (2) | 2025.05.05 |
---|